올해 암호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Bitcoin, BTC)이 연초 대비 160% 상승하는 등 암호화폐 시장은 회복력을 기록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올해 초 약 1조 8,000억 달러에서 이번 달 중순에는 3억 9,000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가장 높은 가격 상승률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이 아닙니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올해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기록한 암호화폐 3종과 내년 전망을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도지코인
올해 도지코인(Dogecoin, DOGE)은 1월 기록한 최저점인 0.081달러에서 12월 최고 0.466달러까지 도달하는 등 약 350% 급등했습니다. 도지코인은 정치적, 기술적,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승 호재를 맞이했습니다. 특히, 올해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도지코인의 상승세를 촉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암호화폐 친화 정책과 규제 완화 계획을 내세워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강세 기대감이 확산되었습니다. 트럼프가 ‘정부 효율성부(DOGE)’라는 정부 부서를 신설한 점도 도지코인의 상승 촉매제 역할을 했습니다. 약자만 조합하면, ‘도지’라고 읽을 수 있어 도지코인을 떠올리게 하는 재치있는 이름으로 도지코인 관심도를 높였습니다.
게다가 도지코인 지지자로 유명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정부 효율성부의 공동 수장이 되어 도지코인 투자 심리가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X가 도지코인 결제 기능을 추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도지코인 관심도와 가격 상승을 유도했습니다.
일부 시장 분석가는 도지코인 가격 차트의 기술적 패턴 분석을 바탕으로 강세 전망을 제기했습니다. 뉴스BTC에 따르면, 크립토샌더스(CryptoSanders)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는 암호화폐 분석가는 도지코인 차트의 수렴 추세선(converging trendline)에 형성된 대칭 삼각 패턴을 근거로 강세 전망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도지코인이 약 0.316달러 선에 형성된 대칭 삼각 패턴의 상단 추세선 돌파로 강세 돌파를 확인하여 목표가가 0.375달러 선으로 상승할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27일(현지 시각) 코인마켓캡 기준 도지코인은 0.3135달러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리플
리플(Ripple, XRP)의 올해 최고가는 연초 대비 330% 상승했습니다. 일시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솔라나(Solana, SOL)와 테더(Tether, USDT)를 제치고 시가총액 순위 3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추후 전망도 밝은 것으로 보입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장기 소송전이 리플 측에 유리한 방향으로 종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리플의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미국 법원은 지난해 7월, 개인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판매한 리플 토큰은 증권이 아니라는 판결과 함께 리플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아직 소송전이 끝난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남은 소송에서도 리플의 승소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가 암호화폐 지지자인 폴 앳킨스(Paul Atkins)를 차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기 때문입니다.
이번 달 리플이 달러에 가치가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인 RLUSD를 발행한 점도 리플 코인의 상승세를 낙관할 근거로 언급할 수 있습니다. RLUSD는 투명성과 규제 준수를 중심으로 하여 12월 18일(현지 시각), 빗소, 업홀드, 문페이 등 다양한 가상자산 거래소에 출시되었습니다.
암호화폐 분석가 크레디블크립토(CredibleCrypto)는 리플 가격 차트에 강세 반전 패턴 중 하나인 역헤드앤숄더(inverse head-and-shoulders) 패턴이 형성된 점에 주목했습니다. 그는 역헤드앤숄더 패턴을 근거로 리플 코인 시세가 추가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헤데라
코인텔레그래프는 도지코인, 리플과 함께 헤데라(Hedera, HBAR)도 올해 우수한 성과를 거둔 코인으로 평가했습니다. 헤데라는 탈중앙화 경제를 위한 활용성이 많은 엔터프라이스 등급 공개 네트워크입니다. 헤데라는 성능 저하, 불안정성 등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설계되었습니다. 더 공정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목표로 하며, 빠른 처리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헤데라는 올해 800% 이상 급등하면서 탈중앙화 금융 시장의 핵심으로 도약했습니다. 헤데라의 총예치자산(TVL)은 1월 기준 약 5,300만 달러였으나 12월에는 2억 달러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올해 헤데라와 관련하여 가장 주목받은 소식은 헤데라 기반 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될 가능성이었습니다. 디지털 자산 운용사 밸루어펀드(Valour Funds)는 유럽 가상자산 거래소인 유로넥스트(Euronext)에 헤데라의 물리적 스테이킹 상장지수펀드 상품을 신청했습니다. 암호화폐 헤지펀드 카나리 캐피털(Canary Capital)은 미국에 헤데라 현물 상장지수펀드를 신청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암호화폐 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미국 내 헤데라 현물 ETF 승인과 기관 채택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스타더(Stader), 소서스왑(SaucerSwap), 본조파이낸스(Bonzo Finance)와 같은 플랫폼에서 헤데라의 생태계 확장 추세는 헤데라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