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밈코인


밈코인 하락세 기록

지난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회의 결과 발표 후 암호화폐 시장 전체가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밈코인 시장도 암호화폐 시장의 전체 흐름에 따라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대표적인 밈코인인 도지코인(Dogecoin, DOGE)과 밈코인 시가총액 2위인 시바이누(Shiba Inu, SHIB) 모두 일주일 전 대비 거래가가 약 20% 하락했습니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비인크립토는 밈코인 시장의 거래량 감소 추세에 주목했습니다. 코인마켓캡 데이터 기준 밈코인 시장의 전체 거래량은 지난 한 달 사이 50% 이상 감소했습니다. 도지코인과 페페(PEPE) 등 일부 밈코인은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밈코인 시장 전체 거래량은 한 달 전보다 저조한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게다가 밈코인 투자자 대부분 투자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매체는 밈코인의 약세장을 확신하기에는 이르지만, 약세 신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샌티먼트(Santiment)도 약세 신호를 언급했습니다. 샌티먼트는 지난 2주 사이 암호화폐 시장의 투자 심리가 약세로 전환된 사실을 전하며, 밈코인의 관심도가 급격히 줄어들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렇다면, 밈코인 시장에서 시가총액 1위와 2위 자리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는 도지코인과 시바이누의 가격 동향은 어떤가 확인해보겠습니다.

 

도지코인

디크립트의 보도에 따르면, 도지코인 시세는 1년 전보다 약 230%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달 초반 3년 고점인 0.48달러에 도달한 뒤 근본적인 상승 모멘텀을 상실했습니다. 코인마켓캡 기준 도지코인은 0.31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도지코인은 이전부터 비트코인 가격과 상관관계를 기록했습니다. 이번에도 도지코인은 비트코인 하락세에 반응하여 단기간에 거래가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도지코인 지지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17일(현지 시각) X(구 트위터)에 도지코인을 언급하는 게시글을 게재한 것이 도지코인 가격 상승세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가 케이티 밀러(Katie Miller)가 도지(DOGE) 라고도 불리는 정부 효율부에 합류한다고 발표하자 도지코인 시세가 일시적인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벤진가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의 오랜 지지자인 밀러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도지(DOGE) 패널이 되어 관료주의 타파, 과도한 규제 철폐, 낭비성 지출 축소, 연방 기관 재구조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밀러가 정부 효율부에 합류한다는 소식에 따라 도지코인 시세가 상승했습니다.

유력 애널리스트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는 고래라고 불리는 대규모 투자자의 도지코인 거래 추세에 주목했습니다. 마르티네즈는 샌티먼트 데이터를 인용, 암호화폐 고래 세력이 약 7,700만 달러에 이르는 도지코인 2억 5,000만 개를 매수했다고 전했습니다. 암호화폐 고래의 대규모 매수 활동은 강력한 가격 지지 및 추가 상승세를 암시합니다.

 

시바이누

디지털 자산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는 시바이누의 30일 MVRV(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Ratio)가 -19.43%로 하락했다는 샌티먼트의 온체인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전했습니다. MVRV 비율이 0% 미만으로 하락한 기록은 토큰 축적 추세를 암시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시바이누 토큰 보유자 분석 차트에 따르면, 시바이누 토큰 보유량이 100억 개~1,000억 개인 대규모 지갑의 잔액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시바이누 토큰 보유량이 1억 개~10억 개에 해당하는 소규모 지갑 수 변동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액 투자자의 활동이 제한적인 상황을 제시합니다. 트레이딩뷰의 시바이누 가격 차트를 보았을 때 시바이누의 거래가는 50일 이동평균선(MA)과 200일 MA 사이에 해당합니다. 이는 단기 약세 모멘텀을 나타내지만, 장기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합니다.

현재 시바이누는 200일 MA이기도 한 0.00002달러 선에 강력한 지지선이 형성됐습니다. 즉각적인 저항선은 0.00002542달러에 위치해 있습니다. 0.00002542달러를 돌파하면, 강세 모멘텀이 살아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시바이누의 상대강도지수(RSI)는 36.02를 기록하며, 과매도 영역과 가까워지는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매도 압력이 점차 완화돼 투자자가 비교적 낮은 가격에서 매수 기회를 잡게 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반응형